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트럼프 대통령, 그린란드를 원하는 이유( 희토류, 전략, 국제사회)

by moonstroy7 2025. 3. 11.


2025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국제사회는 다시 한 번 그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던 그린란드 매입 문제가 다시 화두로 떠올랐다. 당시 덴마크 정부는 미국의 매입 제안을 단칼에 거절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그린란드의 전략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왜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그린란드를 원하게 된 것일까? 단순한 영토 확장이 아니라 경제, 군사, 지정학적 이점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이 그린란드를 탐내는 이유,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 그리고 국제사회의 반응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1. 미국이 그린란드를 원할 수밖에 없는 이유

그린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면적만 해도 216만㎢에 달하며, 지정학적으로 북미 대륙과 가까운 위치에 있다. 덴마크의 자치령이지만, 풍부한 자원과 군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미국 입장에서는 충분히 탐낼 만한 지역이다.

① 희토류와 천연자원 확보 – 미국 경제의 핵심 자원

그린란드는 희토류, 우라늄, 철광석, 석유, 천연가스 등 다양한 천연자원이 매장된 지역이다. 특히, 희토류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군사 장비 등에 필수적인 광물로, 현재 세계 희토류 공급의 80% 이상을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부터 "미국이 중국에 자원 공급을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희토류는 미국의 기술산업과 방위산업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그린란드를 확보하면 미국은 자원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중국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② 군사적 요충지 – 북극 패권 경쟁의 중심지

그린란드는 북극권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미국은 이미 툴레 공군기지(Thule Air Base)를 운영하고 있다. 이 기지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 조기 경보 레이더, 첩보 활동 등을 수행하는 핵심 시설이다.

최근 러시아와 중국이 북극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해에서 군사력을 증강하며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중국도 "북극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적·군사적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그린란드를 차지한다면, 북극에서의 군사적 우위를 확고히 다질 수 있다.

③ 북극항로 개척 – 미래 무역의 중심지

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새로운 해상 무역로(북극항로)가 열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항로를 이용하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무역 경로가 기존 수에즈 운하보다 훨씬 단축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세계 무역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그린란드를 확보하면 북극 항로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물류·교통의 중심지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점은 미국 경제에도 큰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다.

2.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 – 이번에는 다를까?

2019년 덴마크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매입 제안을 단칼에 거절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를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크다.

① 덴마크와의 협상 – 경제적 지원 활용 가능성

덴마크는 매년 약 7억 달러를 그린란드에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그린란드는 경제적으로 취약하며, 주민들의 생활 수준도 덴마크 본토보다 낮다. 트럼프 대통령은 덴마크에 더 많은 경제적 지원을 약속하거나, 그린란드 주민들에게 직접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시 협상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② 그린란드 독립운동 활용 – 미국의 개입 가능성

그린란드 내부에서는 덴마크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도 존재한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독립운동을 지지하고 지원한다면, 그린란드가 덴마크에서 독립한 후 미국과 새로운 협상을 진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③ 국제사회의 반발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미국이 다시 한 번 그린란드 매입을 추진하면, 유럽연합(EU), 러시아, 중국 등의 반발이 예상된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은 북극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가 국제적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3. 국제사회는 어떻게 반응할까?

① 러시아와 중국의 강한 견제

러시아는 북극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은 "북극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만약 미국이 그린란드를 차지하려 한다면, 러시아와 중국은 이를 강력히 견제하며 북극 지역에서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가능성이 크다.

② 유럽연합과 NATO의 입장 – 미국과의 외교적 갈등 가능성

덴마크는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핵심 회원국이다. 미국이 그린란드를 매입하려 한다면, 이는 단순한 미국과 덴마크 간의 문제가 아니라 유럽 전체와의 외교적 갈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그린란드 구상, 현실 가능성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면서, 그린란드 문제가 다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천연자원 확보, 군사적 요충지, 북극항로 개척 등 그린란드는 미국이 탐낼 만한 요소를 충분히 갖추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미국의 미래 전략적 이익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덴마크 정부의 반대, 유럽연합과 NATO의 입장, 러시아·중국과의 국제적 갈등 등 해결해야 할 장애물도 많다. 과연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그린란드 매입을 현실화할 수 있을까? 앞으로 그의 행보와 국제 정세의 변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