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한국 김 수출 1조 원 돌파! 그 이유는? (한류 열풍 , 해외 마케팅 , 전망)

by moonstroy7 2025. 3. 12.

 

 

한국산 김이 2024년 드디어 연간 수출액 1조 원을 돌파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만 소비되던 김이 이제는 미국, 유럽, 동남아 등지에서 건강식품으로 주목받으며 글로벌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 김이 이렇게까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한류 열풍 때문일까? 아니면 다른 특별한 전략이 있었을까? 이번 글에서는 한국 김 수출이 급성장한 핵심 요인과 앞으로의 전망을 자세히 분석해본다.

1. 한류 열풍과 건강식 트렌드가 만난 결과

전 세계를 사로잡은 K-푸드 인기

한류는 이제 단순한 문화 현상을 넘어 글로벌 소비 트렌드를 이끄는 거대한 흐름이 되었다. BTS, 블랙핑크 같은 K-팝 스타들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넷플릭스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예능이 연이어 히트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 음식(K-푸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한국 드라마나 예능에서 출연진이 김밥을 먹거나 밥과 함께 김을 곁들이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면서 해외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도 한국 음식을 직접 시도해보는 콘텐츠가 늘어나면서 김의 인지도도 크게 상승했다.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선택

김이 단순히 한류 덕분에 인기를 얻은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김이 "저칼로리이면서도 영양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떠오른 것도 중요한 요인이다.

김은 지방이 적고, 비타민 A, C, K를 비롯한 다양한 미네랄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또한 비건(채식) 식단에도 적합하고, 글루텐 프리 식품으로 분류돼 밀가루를 피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최근에는 감자칩이나 크래커 대신 김 스낵, 김 크래커, 김 샐러드 토핑 같은 가공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건강 간식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되고 있다.

2. 한국의 전략적인 해외 마케팅과 수출 정책

국가별 맞춤형 제품 개발

한국 김 수출이 성공할 수 있었던 또 다른 핵심 요인은 소비자 맞춤형 제품 전략이다. 과거에는 일반 조미김이 주력 제품이었지만, 이제는 국가별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 미국, 유럽 시장 → 저염 김, 유기농 김, 김칩, 김 크래커
  • 동남아 시장 → 스파이시 조미김, 두께감 있는 프리미엄 김
  • 중국 시장 → 전통적인 조미김과 함께 김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 제품

이처럼 각 나라의 식문화와 소비 패턴을 분석해 제품을 차별화한 것이 한국 김 수출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한국 정부 역시 김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 국제 식품 박람회 참가: 한국무역협회, 농림축산식품부 등이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열리는 식품 박람회에 참가해 한국 김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 위생 및 품질 인증 강화: 김 수출이 늘어나면서, 한국 업체들은 HACCP, 유기농 인증 등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신뢰도를 높였다.
  • FTA(자유무역협정) 활용: 미국, EU 등과의 FTA를 활용해 관세 혜택을 받으면서 경쟁력을 높였다.

3. 주요 수출 시장과 향후 전망

미국 시장, 최대 수출국으로 성장

미국은 현재 한국 김의 가장 큰 수출국 중 하나다. 한인 마트뿐만 아니라 코스트코, 월마트 등 대형 유통망에서도 쉽게 김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건강식을 선호하는 미국 소비자들이 김을 감자칩 대체 간식으로 선택하면서 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다. 김 크래커, 김 스낵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김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에서도 한국 김 점유율 상승

중국은 전통적으로 김 소비량이 많았지만, 한때 중국산 김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산 김이 품질과 위생 면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프리미엄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중국 내에서 한류 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 식품에 대한 신뢰도와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유럽과 동남아 시장의 새로운 기회

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도 김이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유럽에서는 비건 식단과 저칼로리 트렌드에 맞춰 김이 샐러드 토핑, 간편 스낵으로 인기
  • 동남아에서는 한류 영향으로 한국 음식이 뜨면서 김도 덩달아 수요 증가

향후 한국 김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이며, 신흥 시장을 개척할수록 수출 규모도 함께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 한국 김의 글로벌 시장 확대는 계속된다

2024년 한국 김 수출 1조 원 돌파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 한류 문화 확산
  • 건강식 트렌드 반영
  • 국가별 맞춤 제품 개발
  •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
  • 정부 지원과 품질 관리 강화

이 모든 요소가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한국 김은 전 세계에서 인정받는 식품이 되었다.

앞으로도 기업들은 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신흥 시장을 개척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펼쳐야 한다.

한국 김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김 수출 2조 원 시대"도 머지않았다!